행사내용
개전식
일시
2017.09.15 17:00
개막영상

내용
이성과 논리에 매여있던 ‘몸’이 글자를 만나다. 닿을 듯 말듯 서로를 향한 몸짓은 지속되고 점점 더 격렬하게 지속된다.
연출
정문기(문화수도)
촬영
임재형
안무
양지연, 손대민
음악
정문기, 신혜진, 이상민
개막식 공연


제목
신체하는 안무 솔로
내용
퍼포먼스와 타이포그래피가 교차하는 지점은 바로 이 고갈되지 않는 신체라는 개념일 것이다. 실험적 타이포그래피의 전제는, 문자의 시각성을 급진적으로 부각하여 통상적 소통수단으로서의 문자언어와 의미작용을 재구성하는 것이다. 이는 기존의 의미작용이 완전하게 고갈하지 못한 문자 본연의 구성물을 이끌어낸다. 마찬가지로, 최은진의 퍼포먼스에서 몸은 언어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고갈될 수 없는 신체를 암시한다. 이러한 고갈 불가능성으로 인해 신체는 비로소 형식으로서 타이포그래피적 특성을 갖는다.
공연
최은진
리서치 어시스턴트
장한길, 송재욱
음향감독
최강희
참여작가 퍼포먼스


제목
새로운 행성을 위해 주민투표를 하세요
내용
작가는 관객의 참여를 유도하여 가상의 행성을 건설한다. 퍼포먼스는 참여자가 미래 사회의 구성원이 되어 새로운 행성에서 거주하게 된다고 가정하고, 3D 렌더링된 가상의 행성 풍경 위에 각자 다른 역할을 맡은 노동하는 로봇의 스티커를 부착하는 방법으로 진행된다. 몇 가지 종류의 로봇 스티커는 각기 다른 미래 노동의 역할을 상징하며 참여자는 새로운 유토피아를 건설하기 위해 이 영토화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여기는 것을 투표함으로써 가상행성의 풍경은 완성된다.
공연
더 로디나(The Rodina,체코)
프리톡
일시/ 강연자
1회: 2017.05.13 / 안병학, 채병록
2회: 2017.06.03 / 허민재, 조중현
3회: 2017.06.24 / 심대기, 민병걸
4회: 2017.07.15 / 김나무, 서울로
5회: 2017.08.05 / 권민호, 이인수
6회: 2017.08.19 / 권준호, 박지훈, 문장현, 전가경
장소
두성 인더페이퍼 갤러리
참석자
국내외 디자인 관련 전문가, 학생 및 일반인 선착순 60명 모집


오픈톡
일시
2017.09.08–09.09
장소
네이버 커넥트홀
사회자
김나무(국립한경대학교 교수), 권준호(일상의 실천)
발표자/주제
2017.09.08
-오쿠무라 유키마사(Okumura Yukimasa) / 그래픽 디자인에 대한 고찰
-배민기 / 작업소개 2개
-피터 반코프(Peter Bankov) & 채병록 / 나는 매일 포스터를 만든다
-료코 니시즈카(Ryoko Nishizuka) & 박수현 / 동아시아 15억 인구를 위한 서체 디자인하기
-최유진 / 사진찍기 좋은 전시
-리차드 니슨(Richard Niessen) / 타이포그래피 석조물의 궁전
-러스트(LUST) / 읽다, 쓰다, 다시 쓰다
-다니엘 바이즈만(Daniel Weismann) / 시작
-더 로디나(The Roidina) / 퍼포먼스 디자이너의 13가지 단계
-테드 데이비스(Ted Davais) / 새로운, 더 새로운 미디어




큐레이터/아티스트톡
일시
1회: 2017.09.16
2회: 2017.09.23
3회: 2017.09.30
4-5회: 2017.10.14
6회: 2017.10.21
7-8회: 2017.10.28
장소
문화역서울284 중앙홀
발표자/주제
1회: 드라이든 굳윈(Dryden Goodwin), 캐서린 안냔고(Catherine Anyango), 권민호/글자, 이미지 그리고 감각
2회: 손범영, 한정훈, 60603, 골든트리/붉게 쓰기: 몸과 타이포그래피가 맞닿는 곳
3회: 이유진, 김규호, 허민/100명의 딸과 10명의 엄마
4회: 박지훈, 전가경, 문장현/쓰기의 시간들
5회: 권아주, 장윤정, 타불라 라사(Tabula Rasa), 김한솔, 조혜연, 둘셋, 권준호 /연결하는 몸, 구체적 공간
6회: 코스기 코이치(Kosugi Koichi), 에토 타카히로(Eto Takahiro), 무라마츠 타케히로(Muramatsu Takehiko), 채병록/직관의 과정, 경험의 변주
7회: 민병걸, 배민기, 김형재, 홍은주, 심대기/플래그 앤 플레이그라운드
8회: 오디너리피플, 레벨나인/타이포잔치 2017 아이덴티티
참석자
국내외 디자인 관련 전문가, 학생 및 일반인


테이블톡
일시
2017.09.17
장소
더 북 소사이어티
발표자
안야 카이저(Anja Kaiser), 길레스 드 브록(Gilles de Brock)
참석자
국내외 디자인 관련 전문가, 학생 및 일반인


현대자동차 스페셜톡
일시
2017.10.13
장소
문화역서울284 중앙홀
사회자
안병학(타이포잔치 2017 예술감독)
발표자
조동철(현대자동차), 스테파니 디어(Leo Burnett), 이도경(산돌커뮤니케이션즈), 이지원(국민대학교), 채병록(CBR Graphic)
참석자
현대자동차 관계자, 국내외 디자인 관련 전문가, 학생 및 일반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