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사 내용 - 타이포잔치 국제 타이포그래피 비엔날레
T
Y
P
O
J
A
N
C
H
I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행사내용

Slide 1

특별프로젝트

프로젝트명

리서치 프로젝트: 잠재문학실험실

내용

문학과 타이포그래피 간의 긴장관계 속에서 탄생한 몇몇 흐름들 가운데 1960년대 프랑스에서 형성된 울리포(OuLiPo, 잠재문학작업실이라는 뜻)을 국내에 처음 소개하는 책. 단순히 울리포를 소개하는 데 그치지 않고 그 속의 문학적 잠재성을 탐구하여 울리포 작가들이 수년간 실험했던 창작 방식인 제약과 규칙을 한국어에 적용한 창작 실험들을 담고 있다.

기획

타이포잔치 워킹그룹, 김뉘연, 송지선, 전용완

Slide 2

특별프로젝트

프로젝트명

서울스퀘어 미디어 캔버스 프로젝트 <무중력 글쓰기>

내용

디자이너와 문인의 협업을 통해 미디어 파사드라는 독특하고 거대한 매체에 어울리는 키네틱 타이포그래피 작품을 전시하였다.

참여자

박준·강경탁, 유희경 ·양상미, 심보선 ·노은유, 진은영 ·김병조, 서효인 ·강문식, 김경주 ·민본, 오은 ·크리스 로

slide 3

특별프로젝트

프로젝트명

한글날 전야제 퍼포먼스 <글 이전, 말 이후>

일시

2013.10.08

장소

문화역서울284

기획

홍철기

내용

문자나 한글을 직접적으로 연상시키는 방식의 재현을 지양하는 동시에 문자 표면으로서의 소리와 시각성을 매체로 사용하는 퍼포먼스로, ‘반개념’·’튀어오르다, 떨어지다’·’야생 합창단’ 총 세가지 주제로 구성하였다.

출연

이행준, 김태용, 최준용, 진상태, 필 민턴과 야생 합창단

오프닝 심포지엄

일시

2013.08.27 – 08.28

장소

네이버 그린팩토리 커넥트홀

사회자

이지원(국민대학교 시각디자인과 교수)

발표자

기조발제: 무로가 기요노리(IDEA 매거진 편집장)
참여작가: 김기조, 아스트리드 제메(Astrid Seme), 존 모건(John Morgan), 샤오 마거(Xiao Mage), 마크 오언스( Nark Owens), 폴 엘리먼(paul Elliman), 오하라 다이지로(Ohara Daijiro), 하마다 다케시(Hamada Takeshi), 롤 바우터르스(Roel Wouters), 카를 나브로(Karl Nawrot)

내용

보편적 가공언어, 문자 이전의 문학, 유령, 해석, 침묵, 타이포그래피 저술, 농담, 역사와 기억, 참여, 새소리에 관한 토크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